
추분과 한로는 모두 가을의 중요한 절기이지만 시기와 의미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추분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날로, 본격적인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반면 한로는 찬 이슬이 맺히는 시기를 의미하며, 계절이 깊어지고 겨울을 향해 가는 전환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추분과 한로의 차이를 살펴보고, 전통적인 풍속과 현대적 의미를 함께 비교해 보겠습니다. 추분의 의미와 특징 추분(秋分)은 24절기 중 16번째 절기로, 태양이 황경 180도에 위치할 때를 말합니다. 매년 9월 22일 전후에 해당하며, 2025년에는 9월 23일입니다. 추분의 가장 큰 특징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는 점입니다. 이후부터는 밤이 점차 길어지고, 낮은 점점 짧아지면서 본격적인 가을이 시작됩니다.추분 시기에는 농경사회에..

우리나라의 24절기는 농경사회에서 계절의 변화를 세밀하게 나누어 생활과 농사에 활용하던 전통적인 시간 단위입니다. 절기는 중국에서 전해져 왔지만, 기후와 풍습에 맞게 우리 식으로 변형되었으며, 오늘날에도 농업뿐만 아니라 생활 속 다양한 문화와 관습에 깊이 스며들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4절기의 기원, 각 절기의 날짜, 그리고 생활 속 활용법을 차근차근 정리하겠습니다. 24절기의 유래 24절기는 약 2,000년 전 중국 한(漢)나라에서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만든 역법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당시 농경사회에서는 씨를 뿌리고 거두는 시기를 정확히 아는 것이 생존과 직결되었기 때문에, 태양이 황도를 한 바퀴 도는 360도를 15도씩 나누어 24개의 절기로 구분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 무렵부터 이를..